본문 바로가기
한국사

이성계?! 그는 누구인가

by suroad 2024. 8. 19.

태조 이성계 어진(대한민국 보물 제931호)-위키백과 참조

 

태조 이성계(1335-1408)는 조선 왕조의 창업자이자 초대 왕입니다. 

고려 말의 혼란한 시기를 거치며 새로운 왕조를 세운 인물로, 한국 역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성계의 생애, 업적, 그리고 그가 창건한 조선 왕조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출생과 가문 배경
이성계는 1335년, 현재의 함경도 영흥(영주)에서 이자춘의 아들로 태어났습니다. 이자춘은 원나라에서 귀화한 쌍성총관부 출신으로, 여진족과의 교류가 활발한 지역에서 유력한 지방 세력이었습니다. 이성계의 가문은 무인 가문으로, 원나라와 고려의 경계 지역에서 활동하며 군사적 역량을 키워왔습니다.


2. 고려 말의 활약
이성계는 젊은 시절부터 군사적 재능을 발휘해 여진족과 왜구를 상대로 많은 전공을 세웠습니다. 

특히 1380년의 황산대첩에서 왜구를 크게 물리치며 명성을 얻었습니다. 이후 그는 고려 왕조 내에서 군사적 영향력을 확대하며 권력의 중심으로 떠올랐습니다.


3. 위화도 회군
이성계의 이름을 가장 크게 알린 사건은 1388년의 위화도 회군입니다. 당시 고려 왕조는 명나라와의 갈등 속에서 요동 정벌을 계획했으나, 이성계는 이를 반대했습니다. 그는 "4불가론"(요동 정벌이 불가능한 네 가지 이유)을 주장하며, 당시의 정세에서 요동 정벌이 무리임을 강조했습니다. 그러나 정몽주 등 친명파 대신들의 강경한 입장으로 요동 정벌이 강행되었고, 이성계는 출병하게 됩니다. 그러나 그는 군대를 위화도에서 돌려 개경으로 돌아와 정변을 일으켰습니다. 이로써 그는 실질적인 권력을 장악하게 되었고, 고려 왕조의 붕괴를 가속화했습니다.

4. 조선 건국
이성계는 권력을 장악한 후, 고려 왕조의 부패와 무능을 개혁하기 위해 새로운 왕조를 세우기로 결심했습니다. 

1392년, 그는 고려의 마지막 왕인 공양왕(재위 1389-1392)을 폐위시키고, 스스로 왕위에 올라 조선을 건국했습니다.

이로써 500년 가까이 이어져 온 고려 왕조는 막을 내리고, 조선이라는 새로운 왕조가 시작되었습니다.

5. 정치와 개혁
조선의 초대 왕이 된 이성계는 왕조의 기틀을 다지기 위해 여러 가지 개혁을 추진했습니다. 

그는 한양(현재의 서울)으로 천도해 수도를 정하고, 새로운 왕조의 상징적 의미를 부여했습니다.

이성계는 유교 이념을 바탕으로 한 중앙 집권 체제를 확립하고, 신진 사대부들과 협력해 개혁을 추진했습니다.
또한 그는 경국대전의 초안을 마련하고, 중앙 행정 조직을 정비해 국가 운영의 기초를 다졌습니다. 

외교적으로는 명나라와의 친선을 유지하며 안정적인 외교 관계를 구축하려 했습니다.

 

(경국대전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하자면,

경국대전(經國大典)은 조선의 통치와 행정을 위한 기본 법전으로, 

조선 왕조의 정치, 법률, 제도 전반을 규율한 중요한 법전입니다. 
이 법전은 조선의 중앙집권 체제를 강화하고, 

유교적 통치 이념에 기반한 국가 운영을 실현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했습니다.
경국대전의 편찬 작업은 세조(재위 1455-1468) 때 본격적으로 시작되어 성종(재위 1469-1494) 때 완성되었습니다.)

6. 퇴위와 말년
이성계는 1398년, 제1차 왕자의 난(이방원이 주도한 반란)으로 인해 정치적 충격을 받은 후 왕위를 아들인 이방과(정종)에게 물려주고 퇴위했습니다. 이후 그는 태상왕의 신분으로 물러나 강원도 원주에서 여생을 보냈습니다.
태조 이성계는 1408년 73세의 나이로 생을 마감했습니다. 그의 사후 묘소는 건원릉(경기도 구리시)으로 지정되었습니다.

7. 유산과 평가
태조 이성계는 고려 왕조의 붕괴와 조선 왕조의 창건이라는 대전환기를 이끈 인물입니다. 그의 리더십은 새로운 왕조의 설립과 국가의 안정을 이끌었으며, 이후 조선 500년의 역사가 그의 토대 위에서 시작되었습니다. 이성계는 군사적 재능과 정치적 수완을 겸비한 지도자로 평가되며, 특히 유교적 통치 이념을 바탕으로 한 중앙 집권 체제를 확립한 것은 조선 왕조의 장기적인 안정과 번영에 기여했습니다.
그러나 그의 왕위 계승 과정에서 발생한 왕자의 난과 같은 사건들은 조선 초기 정치적 불안정을 초래한 원인으로도 지적됩니다. 이러한 점에서 태조 이성계는 조선 건국의 공과 과를 모두 지닌 역사적 인물로 평가됩니다.